2025년 자동차세 연납이 시작되었습니다. 매년 연례행사로 자동차세 연납을 하고 있는데요. 올해 자동차세의 할인율은 몇프로인지 그리고 연납하는 방법은 무엇인지, 최대로 할인을 받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자동차세 연납이란?
자동차세 연납은 매년 6월과 12월에 납부하는 자동차세를 1월에 한 번에 납부하여 세금 할인 혜택을 받는 제도입니다. 2025년에도 이 제도를 활용하면 상당한 절세 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
2025 자동차세 할인율 / 납부기간 / 납부방법
자동차세 연납제도가 94년도에 처음 도입되었다는 사실을 알고 계신가요? 당시에는 한국은행 기준금리가 12.66%였기 때문에 기준 수준을 고려하여 10% 연납 혜택이 적용되었고 추후 3%까지 연납 혜택을 줄이려고 했는데 최근 고금리와 경기침체로 2025년도에도 2024년도와 동일하게 5%수준으로 유지한다고 합니다. 즉 2025년도에 두번 납부해야 하는 자동차세를 1월에 납부하면 5%할인 혜택을 주는 것입니다.
납부하는 기간에 따라 할인율이 다르다?
- 1월 납부: 5% 할인
- 3월 납부: 약 3.76% 할인
- 6월 납부: 약 2.51% 할인
- 9월 납부: 약 1.25% 할인
즉, 가장 높은 할인율을 받으려면 1월 16일부터 31일 사이에 납부하는 것이 좋습니다
자동차세 납부 방법은 무엇일까?
- 온라인 신청: 위택스(WeTax) 홈페이지나 모바일 앱을 통해 신청
- 방문 신청: 관할 시청, 구청, 읍·면·동 주민센터에서 신청
- 전화 신청: 관할 지자체 세무과로 문의
기타 질문 사항
2025년도에 차를 팔 계획인데 연납하면 나중에 돌려받을 수 있나요?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먼저 지자체의 세정과에 전화해서 자동차 소유권 이전해서 자동차세 납부한 것을 환급신청한다고 이야기 하면 절차를 안내받을 수 있게 됩니다. 또한 자동차세를 납부하는 사이트인 위택스 어플을 통해서도 환급신청이 가능합니다.
위택스에서는 환급신청 > 환급금 조회 신청 > 지방세를 선택하면 됩니다. 이 모든 과정은 소유권이전이 완료된 상태에서 가능합니다.
추가로 자동차세를 할인 받을 수 있는 카드나 방법이 있나요?
자동차세는 지방세입니다. 카드마다 다른데 지방세를 실적인정을 해준다거나 캐시백 등을 해주는 카드들이 간혹 있습니다. 그리고 국세,지방세에 대해 무이자 할부를 해주는 카드도 있습니다. 자동차세는 금액이 그렇게 크지 않지만 국세 무이자 할부 되는 카드는 아주 귀하죠.
보통의 경우 실적인정도 안해주고 할인도 안해주는 경우가 많아서 잘 서칭을 해봐야 합니다. 간단하게 방법을 정리해드리자면
- 신용카드 할인 : 일부 카드사에서 자동차세 납부 시 추가 할인이나 캐시백을 제공합니다.
- 간편결제 서비스 :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등을 이용하면 추가 포인트나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2025년 기준 10만원 이상 결제 시 추첨을 통해 1~3천원 지급. 카카오페이 1~2천원 / 네이버페이 3천원)
- 지자체별 혜택: 일부 지자체에서는 연납 시 주차요금 할인 등 추가 혜택을 제공하므로 거주 지역의 혜택을 확인해보시면 좋습니다.
- 체크카드 활용: 특정 체크카드로 결제 시 추가 환급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잘 알려진게 KB직장인보너스체크카드 10만원 이상 결제시 7천원 할인이 있습니다. 또한 신한카드의 체크카드를 통해 납부하면 0.1% 캐시백 해줍니다. 신용카드는 혜택이 거의 없습니다.
2025 자동차세 연납할인율, 연납방법, 최대할인방법, 카드할인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도움이 되셨나요? 본인의 상황에 맞게 연납을 통해 할인을 받으시면 좋겠습니다.
